본문 바로가기

Repositorium/History

태정태세문단세


선조, 영조, 정조, 순조는 원래 선종, 영종, 정종, 순종이었다.

그러면 왜 임금들의 호칭이 이렇게 바뀐 것일까? 
그 이유는 묘호에 있어서 종(宗)보다는 조(祖)를 우월하다고 인정했기에 훗날 바뀌게 된 것이다.
정 태 세 문 단
예 성 중 인 명
효 현 숙 경
정 
헌 철 고 순<종> ---------------- / 종 /

초등학교때부터 열심히 외운 조선왕조 27대 왕들의 묘호이다.

묘호는 중국에서 시작된 것으로 임금이 죽은 뒤 종묘에 신위를 모실때 결정되는 호칭이다.
이때 묘호를 위패에 적게 되는데 다른 임금들과 중복되지 않도록 새로 짓는 것이 원칙이다.


묘호의 첫 글자는 임금의 치세 기간의 업적에 따라 결정되며, 끝자는 종과 조 가운데서 선택하게 된다.
그러므로 묘호는 임금이 살아 생전에 들을 수 없는 호칭인 것이다.  

실제로 새 왕조의 창업에 공을 세운 임금에게는 조라는 칭호를 쓴다.
고려의 왕건과 조선의 이성계를 태조라 하는 것이 좋은 예다.
종의 경우는 왕의 정통성을 이어받은 임금일 경우에 사용한다.

그러나 조선의 27명의 왕에게 부여된 묘호는 꼭 그렇지만은 않다.
이번 글에서는 조선왕조 27명의 왕들에게 붙여진 묘호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조선왕조의 건국 초기인 태조1년(1392년) 황조실 책호문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공이 있는 왕은 조(祖)로 하고 덕이 있는 왕은 종(宗)으로 하니,
효도는 어버이를 높이는 것보다 큰것이 없다.

따라서 조선의 임금들에게 붙여진 묘호는 위기에 처한 나라를 구하거나 이에 버금가는 치적을 남긴 임금에게도 조라는 칭호를 썼다.


그래서 처음에 종이었다가 훗날 조의 칭호를 받은 임금들이 있는 것이다. 

임진왜란을 겪은 선조와 인조반정을 통해 왕위에 인조 그리고 홍경래의 난을 치른 순조 등이 훗날 조의 칭호를 얻게된 임금들이다.

반면에 세조는 전쟁이나 반정 혹은 어떤 국난도 겪지 않았는데, 조의 호칭을 받아 논란이 되었다.
세조의 경우 사육신의 일이나 호족 이시애가 일으킨 난 등을 수습하고, 왕실과 조정을 공고히 했다는 명분으로 조의 칭호를 받았다.
그러나 조카를 왕에서 몰아내고 왕위를 찬탈한 행위로 보아 종을 붙이기도 아까운 인물이라 생각된다.

반정을 통해 왕위에 올랐지만 조가 아닌 종의 묘호를 받은 임금도 있는데 바로 11대 중종이다.
"선왕(중종)은 난국을 바로 세우기 위해 반정을 한 공이 인정되기에 조라 칭하는 것이 옳다."

인종은 중종이 세상을 떠난 뒤 이와 같은 교서를 내렸지만 예관이 반대의견을 제시했다.

"선왕께서 나라를 중흥시킨 공적은 있지만 성종의 직계로 왕위를 계승했으니 종으로 하는 것이
 옳은 줄 압니다."

결국 인종도 이 의견을 받아들여 중종으로 묘호를 사용하였다.




조선 27대 왕중에는 조나 종이 아닌 군(君)의 칭호를 받은 임금이 있다.
왕위에 있는 기간을 아예 인정하지 않을 만큼 폭군이거나 어리석고 무능한 혼군일 경우이다.

그 대표적인 임금이 노산군, 연산군, 광해군이다.

노산군은 숙부 수양대군 에 의해 왕위에서 쫓겨나 죽임까지 당했으나, 숙종때에 와서 단종이라는 묘호를 받았다.

그러나 폭정을 일삼았던 연산군은 묘호가 아닌 군을 받을 수 밖에 없었다.

한편 광해군은 임진왜란 때 의병을 모집하는 등 나름대로 치적을 세자 시절부터 쌓았지만 당파 싸움에 휩쓸려 군이 된 경우라 할 수 있다.
더군다나 인조반정을 정당화하기 위한 명분으로 혼군이라는 불명예까지 떠안았으니 조선왕조 27명의 임금 중 제일 불행한 한명이라 하겠다.


조선시대 임금들은 죽기 전에 자신의 묘호에 대해 한번 쯤은 짐작해보고 나름대로 기대도 했을지 모른다.
그래서 자신의 묘호를 위해 노력했다면 이 또한 긍적적이라 볼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