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궐에 가면 외전(정치공간)의 중심은 정전이다.
정전을 들어가는 문(예를 들어 창경궁의 경우는 정전인 명정전을 통과하는 문의 이름은 명정문임)을 통과하면 길게 3갈래의 길이 나타난다.
이를 조정이라 한다.
사극을 보면 신하들이 궁궐에 입궐하는 행위를 '조정에 나간다'라고 말하기도 한다.
조정은 가운데가 임금이 지나는 길, 좌측이 문관 우측이 무관의 길이다.
이 중 임금이 지나는 길이 좌우측보다 조금 높게 나있는데, 이를 임금의 길 어도(御道)라 한다.
마찬가지로 왕릉에 가도 임금의 길이 있다.
살아있는 임금은 한 나라의 최고 위치에 있다.
하지만 그런 임금도 왕릉의 홍살문을 통과하는 순간 두 번째 지위가 된다.
왕릉 공간에서 최고 위치는 바로 왕릉의 주인인 승하한 왕이기 때문이다.
살아 있는 임금이 사는 궁궐에서 임금의 길을 '어도'라 하는데, 왕릉에서 임금의 길은 '참도'라 한다.
참도는 왼쪽이 오른쪽보다 높게 되어 있다.
높은 곳은 혼령이 걷는 길이고, 낮은 곳은 참배를 간 살아있는 임금이 걷는 길이다.
제12대 인종 : 효릉
부모 옆에 묻어달라는 인종의 유언에 따라 부왕인 중종과 어머니인 장경왕후의 능인 정릉 옆에 조성하였으나, 1562년(명종17) 정릉이 지금의 강남구 삼성동 선릉 옆으로 옮겨갔고, 장경왕후의 능은 희릉이라는 능호로 바뀌어 효릉 옆에 있다.
제13대 명종 : 강릉
명종은 인종의 갑작스런 승하로 12살에 왕위에 오른 이복동생(경원대군)이다.
당시의 소문에는 문정왕후가 독살로 양아들(인종)을 죽이고 친아들(명종)을 왕위에 앉혔다고 한다.
결국 명종은 문정왕후가 살아있을 동안은 형식적인 왕이었고 모든 권한은 대비 문정왕후에게 있었다.
제14대 선조 : 목릉
목릉의 영역은 원래 1600년(선조33) 의인왕후가 승하하자 왕비릉인 유릉의 터로 정해진 곳이다.
그런데 1608년(광해군 즉위) 선조 승하 후 선조의 능인 목롱은 원래 건원릉 서편에 조성되었는데, 물기가 차고 터가 좋지 않다는 상소에 따라 1630년(인조8)에 지금의 위치로 천장되고 유릉과 목릉을 합쳐 목릉이라 부르게 되었다.
그 후 1632년(인조10)에 선조의 계비 인목왕후가 세상을 떠나자 계비의 능을 왕릉의 동편 언덕에 조성하여 지금의 세능이 자리하고 있다.
제15대 광해군 : 광해군묘
인조반정으로 폐위된 광해군은 유배지인 제주도에서 사망한 뒤 그곳에 묻혔다가 1643년 지금의 경기도 남양주시로 이장되었다.
광해군의 부인인 문성군부인 유씨 역시 광해군과 함께 폐위되어 강화로 유배되었다가 사망하여 양주군 적성동에 묻혔는데, 광해군이 사망한 뒤 광해군의 무덤 옆으로 이장되었다.
17세기 급변하는 중국의 정세를 유일하게 궤뚫어본 임금 광해군은 혼란 속에 오직 조선의 살 길을 모색하여 미래를 준비하려 했던 인금이다.
그러나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기에 그를 평가받지 못한 폐주로 기록하고 있다.
관련글 링크 : 조선왕릉 이야기
[역사이야기/조선시대]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조선왕릉
[역사이야기/조선시대] - 조선왕릉 이야기(2) : 헌릉(제3대 태종)에서 현릉(제5대 문종)까지
[역사이야기/조선시대] - 조선왕릉 이야기(3) : 장릉(단종)에서 창릉(예종)까지
[역사이야기/조선시대] - 조선왕릉 이야기(4) : 선릉(성종), 연산군묘(연산군), 정릉(중종)
[역사이야기/조선시대]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조선왕릉
[역사이야기/조선시대] - 조선왕릉 이야기(2) : 헌릉(제3대 태종)에서 현릉(제5대 문종)까지
[역사이야기/조선시대] - 조선왕릉 이야기(3) : 장릉(단종)에서 창릉(예종)까지
[역사이야기/조선시대] - 조선왕릉 이야기(4) : 선릉(성종), 연산군묘(연산군), 정릉(중종)
'Repositorium > Hi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왕릉 이야기(7) : 의릉(경종), 원릉(영조), 건릉(정조), 인릉(순조) (41) | 2012.02.03 |
---|---|
조선왕릉 이야기(6) : 장릉(인조), 영릉(효종), 숭릉(현종), 명릉(숙종) (46) | 2012.01.31 |
조선왕릉 이야기(5) : 효릉(인종), 강릉(명종), 목릉(선조), 광해군묘(광해군) (29) | 2012.01.26 |
조선왕릉 이야기(4) : 선릉(성종), 연산군묘(연산군), 정릉(중종) (44) | 2012.01.25 |
조선왕릉 이야기(3) : 장릉(단종)에서 창릉(예종)까지 (20) | 2012.01.22 |
조선왕릉 이야기(2) : 헌릉(제3대 태종)에서 현릉(제5대 문종)까지 (24) | 2012.01.21 |
묘가 참 웅장한게 공통점인듯합니다 ㅎㅎ
오늘도 잘보고가요 좋은하루되시길^^
조선왕릉은 자연과 함께하는게 특징인거 같습니다.
즐거운 하루되세요^^
저는 광해군묘가 더 특별한 느낌으로 다가옵니다.
역사는 늘 승자의 편에 서는 슬픈 현실도 느껴지구요.
광해군이 폐위되지 않았다면 우리의 역사는 많이 달라졌겠지요.
즐거운 하루되세요^^
너무 잘보고 갑니다~ ^^
요즘 날씨가 정말 추운데 감기조심하세요~
날씨가 몹시 춥네요.
감기조심하세요^^
아..왕릉들이네요..
요새는 거의 못봐서...
날씨가 풀리면 왕릉나들이도 괜찮을겁니다.
유익한 글 재미있게 잘 보고 갑니다. 오늘 하루도 행복한 하루 되세요
감사합니다.
즐거운 하루되세요^^
오늘도 열심히 공부하다 갑니다.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재미있으셨나요?
오늘도 즐거운 시간 보내세요^^
역사에 관한 지식이 상당하시군요,
늘 감탄하고 갑니다
지식이 많은게 아니고 관심이 많습니다.
올해 왕릉탐사를 위해 공부 중입니다.
즐거운 하루되세요^^
좋은 포스팅 너무 잘 보구 갑니다..^^
오늘도 춥네요..!!
감기 조심하세요~~^^
당분간 날씨가 춥다고하네요.
감기 조심하세요^^
양주군 적성동이라? 제가 지금 양주시에 사는데,, 다른 지역인가요?? ㅎㅎ 태클은 아닙니다. 궁금해서,,
같은 지역인거 같네요.
그런데 지금은 남양주시의 광해군묘 옆으로 이장되었다고 합니다.
즐거운 하루되세요^^
오늘도 역사이야기 잘 보고갑니다^^
날씨가 차네요.
감기조심하세요^^
덕분에 조선왕릉 모습도 보고 역사도 되돌아봅니다^^
왕릉에 숨겨진 역사도 많은거 같습니다.
참도는 처음 알았네요 ^^ 좋은 글 잘보고 갑니다..
즐거운 하루되세요 ^^
왕릉과 관계된 명칭들은 일반 생활에서는 접하기 힘든 경우가 대부분이지요.
행복한 시간되세요^^
참도가 있다는 것은 오늘 첨 알았습니다.
줌인님 덕분에 역사공부 재미나게 하고 있습니다..^^
저도 이번에 알게되었습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왕궁의 길도 계급이 있었군요.
이제 사극을 볼 때 도움이 되겠어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사극을 보면서도 알게되는게 있지만, 여러 지식을 갖고 사극을 봐도 재미가 있을겁니다.
즐거운 하루되세요^^
잘 보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