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sitorium/History

조선 임금의 묘호 - 태정태세문단세

 

조선 임금의 묘호 - 태정태세문단세

 

 

 

태정태세문단세  예성연중인명선  광인효현숙경영  정순헌철고순

 

조선왕조 27명의 묘호 첫 자리 순이다

 

이중에는 조인 임금도 있고 종인 임금도 있으며 군으로 끝나는 묘호를 갖는 임금도 있다먼저 묘호가 조로 끝나는 임금은 태조 세조 선조 인조 영조 정조 순조 7명이다. 그리고 군으로 끝나는 임금은 연산군 광해군 2명이고 나머지 18명의 임금은 종으로 된 묘호를 가지고 있다.

 

 

 

 

 

 

그러면 묘호가 무엇일까?

 

묘호는 원래 중국에서 시작되었다. 임금이 죽은 뒤에 종묘에 신위를 모시게 되는데, 이 때 살아 생전 임금의 업적에 따라 결정되는 호칭을 묘호라고 한다위패에 적는 묘호는 이전 임금과 중복되면 안되며 묘호의 첫 글자는 재위 기간에 업적에 따라 정해 진다. 그리고 끝 글자는 ‘조() 과 종() 중에서 선택하게 된다. 그러기에 임금이 살아있을 때는 자신의 묘호를 알 수 없다.

 

실제로 조라는 호칭은 왕조를 창업한 임금에게 붙이는 호칭이다. 따라서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는 당연히 태조라는 호칭을 얻었다. 앞선 왕조인 고려의 왕건도 태조라 부른다그런데 조선 왕조는 조라는 묘호를 가진 임금이 태조 외에도 6명이나 더 있다.

 

그 이유는 건국 초기인 1392(태조 1)에 공표된 황조실 책호문을 보면 이해가 된다.

 

공이 있는 왕은 조()로 하고 덕이 있는 왕은 종()으로 하니 효도는 어버이를 높이는 것보다 큰 것이 없다. (이를 공조덕종이라 합니다)

 

 

조라는 호칭이 붙은 나머지 6명의 임금 중에 선조, 영조, 정조, 순조는 원래 선종, 영종, 정종, 순종이었다. 그런데 위기에 처한 나라를 구하거나 이에 버금가는 치적을 남긴 임금에게는 조라는 칭호를 붙인다는 명목 하에 묘호가 바뀌게 된 것이다.

 

 

 

조선 왕조 임금에게 붙여진 묘호들

 

처음엔 종이었으나 훗날 조의 칭호를 받은 임금 중 선조는 임진왜란을 겪은 이유이나 실제로 임금왜란 중 선조는 피난 다니기에 바빴고 분조를 이끌며 조선을 구한 사람은 그의 아들 광해군이었는데 선종의 묘호가 조로 바뀐 사실은 전혀 공평하지 못한 역사의 평가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순조의 경우도 홍경래 난을 치른 임금으로 훗날 조의 칭호를 얻었으니 조선 임금 중 창업을 한 태조 이성계를 제외하고 성군의 평가를 받는 영조 정조 외에 조라는 묘효를 가진 임금들의 묘호는 공조덕종에 의해 결정되었다 해도 쉽게 이해가 되지 않는 경우이다.

 

대표적인 경우가 세조이다. 세조는 전쟁이나 반정 혹은 어떠한 국난도 겪지 않았으며, 심지어 조카를 몰아내고 왕위를 찬탈한 부도덕한 임금이었기에 종을 붙이기도 아까운 그에게 조라는 묘호를 붙임으로 조선 왕조의 조라는 호칭이 갖는 의미를 퇴색시킨 꼴이 되었다세조가 조를 받은 이유는 사육신의 일이나 이시애의 난을 수습하였고 왕실과 조정을 공고히 했다는 명분이었다고 한다.

 

 

 

 

 

 

 

그런데 반대의 경우도 있다. 조선 11대 임금인 중종은 연산군을 몰아낸 반정을 통해 왕위에 올랐지만 조가 아닌 종의 묘호를 받았다. 인종(12대 임금)은 반정의 공을 인정해 중조라는 묘호를 사용하는 교서를 내렸지만 예관이 반대를 했다반대의 명분은 선왕이 공적은 있으나 성종의 직계로 왕위를 계승했으니 종으로 하는 게 옳다는 의견이었으며, 인종도 이를 받아들여 중종으로 묘호를 정하였다.

 

 

그리고 조선 왕조 27명의 임금 중에 조나 종의 묘호를 받지 못한 임금도 있다. 그 이유는 왕으로서의 재위 기간을 인정하지 못할 만큼 폭군이거나 무능한 혼군일 경우이다조선 임금 중에 군의 호칭을 받은 임금은 연산군과 광해군 2명이다. 노산군도 숙부 수양대군(세조)에 의해 왕위에서 쫓겨나 죽임을 당한 뒤 묘호를 받지 못했으나, 훗날 숙종 때 이르러 단종이라는 묘호를 받았기에 조선 왕조에 군으로 남은 임금은 2명뿐 이다.

 

폭정을 일삼은 연산군은 묘호가 아닌 군으로 남는 게 당연하겠으나, 그에 반해 광해군은 권력 투쟁에 휩쓸려 군이 된 경우이다. 임진왜란 당시 부친인 선조를 대신하여 분조를 이끌며 구국의 공을 새운 광해군이었지만 인조반정에 의해 혼군이라는 불명예까지 쓴 억울한 임금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조선 왕조의 임금들은 살아 생전 자신의 묘호가 역사에 어떻게 기록될까 한 번쯤은 고민하였을 것이며, 나름 조라는 묘호를 기대했을 것이다. 그러나 조선 임금들의 공적이 모두 뛰어나지 않을 걸 보면 성군은 하늘이 정하나 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