짜장면 하면 같이 거론되는 유명한 집이 '공화춘'이라는 중국요리집이다. 가장 오래된 곳은 아니고 가장 유명한 집이었다고 한다.
보통 가게 이름을 '루'나 '점'으로 짓는데 왜 '춘'으로 끝나는 이름을 지었을까 궁금했는데, 1911년 중국 청나라에 쑨원에 의해 신해혁명이 일어나 청나라가 무너지고 중화인민공화국이 새롭게 탄생한것을 기리기 위해 '공화국 원년의 봄'을 의미하는 '공화춘'이라는 이름으로 1912년에 개업했다고 한다.
원래 공화춘 건물은 현재 등록 문화재 246호로 지정되었으며 2012년에 짜장면 박물관으로 개관되었다.
해외에 살고 있는 중국인들을 화교라 부르는데 인천은 중국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위치여서 일찍이 중국과의 교역이 활발하던 곳으로 중국인들이 모여 살던 곳이었다.
당시 청나라와의 교역에 따라 왔던 화교인들은 인천 지역에서 수입과 수출에 관여하며 그들만의 생활 근거지를 만들어 갔다. 인천에 온 화교인들은 대부분 산둥지방 사람들이 많았고 그들은 빠른 식사를 위해 춘장에 삶은 수타면을 비벼 먹었었다.
그러다가 단맛을 좋아하는 조선인들을 위해 춘장에 설탕을 넣어 단맛을 가미하여 만든 것이 지금 우리가 먹는 짜장소스이다.
짜장면 맛의 핵심인 춘장은 콩을 이용한 메주와 비슷하나 카라멜 색소를 넣어 검은색을 띠며 짠맛이 강하다. 중국인들은 이 춘장에 바로 면을 섞어 먹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은 단맛을 가미하고 물이나 채소를 듬북 넣어 짠맛을 줄여 먹는다.
짜장면은 대표적인 배달음식으로 철가방을 우리 생활속에 각인시켰다.
처음엔 나무로 만들었으나 무겁고 위생적이지 않아 플라스틱으로 변했다가 가볍고 위생적이며 비교적 값이 싼 알루미늄 재질의 철가방이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다.
철가방의 디자이너가 누군지는 모르나 철가방은 한국디자인문화재단에 의해 지난 반세기 한국인의 일상 생활속 대표디자인으로 선정되었다.
짜장면의 원래 발음은 '짜지앙미옌'이나 우리나라 사람들에 의해 짜장면으로 굳어졌다가 '자장면'으로 표기와 발음을 정했다.
하지만 워낙 오랫동안 짜장면으로 불리웠고 원래 발음과 유사하여 자장면과 짜장면을 혼용해 쓰기로 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자장면~보다는 짜장면~이 주는 어감이 더 맛있다고 느낀다.
예전엔 생애 처음하는 외식, 혹은 기념일등에 짜장면을 먹는게 큰 자랑거리였으며 졸업이나 입학, 맞선 후 식사음식으로 각광받는 음식이었다.
지금도 한국 사람들이 가장 많이 먹는 음식중 하나이며 배달음식 2위를 자랑한다.(1위였으나 올해 치킨에게 1위를 내줌)
차이나타운에서 먹어 본 짜장면은 우선 면발이 적당히 굵고 탄력이 좋다. 춘장 소스의 묽기나 간은 적당하며 돼지고기와 야채의 혼합비율도 적당하니 좋다.
동네 짜장면과 비교해 더 탁월한 맛을 주는건 아닌데 살짝 다른건 독특한 향이 난다. 돼지고기 냄새를 없애기 위함인지 지역적 특성인지는 잘 모르겠다.
먹는데 불편함을 줄 정도는 아니다. 자그마한 찻주전자에 담긴 따뜻한 자스민 차가 개운함을 더해 준다.
'세상을 보는 창 > 느낌있는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 바다에서 바라 본 비경 - 산방산 용머리해안 형제섬 (20) | 2014.02.04 |
---|---|
솜씨 좋은 석공이 만든 제주의 절경 - 주상절리 용머리해안 (16) | 2014.01.28 |
(공화춘) 차이나타운 짜장면박물관 - 자장면보다 짜장면이 더 맛있다! (17) | 2014.01.03 |
오백년 조선왕조를 지켜 온 사직단 (16) | 2013.12.18 |
인간의 선함과 진실함을 그렸던 서민 화가 박수근 (15) | 2013.10.15 |
천혜의 자연이 숨쉬는 양구 - 광치자연휴양림(계곡)과 국토정중앙천문대 (10) | 2013.10.12 |
저는 여기서 맛보지 않아 잘은 모르겠지만
자장보단 짜장이 훨씬 친숙하게 맛있게는 들리더라구요.
이렇게 박물관화 됐네요? 재밌어 보여요. 책으로만 보던 역사를 이리 눈으로 확인하는게요.
오호...ㅇㅣ런곳도 있군요.ㅎㅎ
잘 보고가요
짜장면 배달의 상징이기도 한 철가방이 처음부터 지금과 같은 모습이 아니었군요. 짜장면의 역사를 한눈에 바라볼 수 있어서 의미있는 곳 같습니다. 더불어 더이상 자장면뿐 아니라 '짜장면'도 함께 표준어로 등재되어서 다행이에요.^^
차이나타운 오랜만에 한번 가보고 싶어요~ 인천살 때 갔는데 멀리 떨어져 보니 못가게 되더라구요~
덕분에 잘 구경하고 갑니다~^^
인천 차이나타운이군요!
두어번 가본 곳인데, 박물관도 있는지는 몰랐네요 ㅎㅎ
짜장면과 자장면 혼용이 가능하다는 사실도 잘 알아갑니다!
인천 차이나 타운 거기 자장면박물관 정말
기대되는 곳이네요 ^^
짜장면 박물관도 있군요.
언제 한번 가 보고 싶네요.
새해 첫 주말과 휴일 잘 보내시기 바랍니다.
신기하네요.ㅎ
저도 가보고 싶어요.ㅎ
와 이런 장소가있군요.덕분에 좋은 글읽고 갑니다오늘도 행복하시고 건강하세요
짜장면 박물관이라는건 처음이에요.ㅎ
왠지 신기하네요.ㅎ
저도 한번 가보고 싶어지는걸요^^
덕분에 좋은정보 알고 갑니다^^
저도 인천인데 한번도 못가봤네요. 아이와 한번 가봐야겠어요~
짜장면 박물관이라...인천 차이나 타운 짜장면 먹으러 가보기는 했는데 거긴 한번도 가보지 못했던 것 같아요 ㅎㅎ
우와 너무 멋지네요.
짜장면 박물관도 있다니.. 대박^^
저도 공화춘 좋아해요~ 맛있는 포스팅 잘보고갑니다~
즐거운 주말 보내시고, 오늘도 힘내서 아자아자~ 파이팅~
포스팅 잘 보고 가용 ~~!!
일요일 남은주말 잘 보내시길 바래요 ! ^^
어릴적에 아버지가 짜장면 먹고 오라고 오백원 손에 쥐어줘서
일주일에 한번씩은 간신으로 먹었는데..갑자기 그립네요 ㅎ
잘보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