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시력은 1.0에서 1.5이면 정상 시력이다. 게중에는 2.0의 시력을 자랑하는 분도 있지만 요즘은 각종 영향으로 정상 시력을 유지하는 경우도 드물다. 이제 안경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인 시대 같다.
시력은 사물이 잘 보이는 지에 대한 척도이지만, 색깔을 구분하는 기준은 또 다르다. 즉, 색깔을 구분하는 능력이 떨어지는 경우도 있는데 이를 색맹이라고 한다. 시력이 떨어져도 문제지만 색깔을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도 불편할 수 밖에 없겠다.
인간의 감각기관 중 가장 중요한 기관은 시각기관인 눈이다. 사람이 얻는 각종 정보의 80%는 눈을 통해 얻으니 말이다. 그리고 사람의 눈은 1만 7천 가지 색을 구분할 수 있고, 1km 떨어진 거리에서 촛불의 1천 분의 1 밖에 안 되는 빛까지도 감지할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동물들의 시력에 대하여 알아 보겠다.
가장 시력이 좋은 동물을 포함해 각종 동물들의 시력에 대한 재미있는 세계로 떠나보자.
일반적으로 하늘을 날며 세상을 내려다 보는 조류는 색채가 풍부하고, 시각이 넓으며, 사물을 또렷하게 본다. 빠르게 움직이며 지상에 먹이를 구분하여 낚아채려면 당연한 진화 일게다. 보통 새대가리라는 표현을 하듯이 새의 머리에서 뇌가 차지하는 비율은 낮지만 눈이 차지하는 비율은 상대적으로 매우 높다.
새 중에서는 육식조류가 가장 시력이 좋은데 공중에서 땅을 내려다보며 재빠르게 움직이는 동물을 노리려면 날카로운 시력이 꼭 필요하다. 그러면 육식조류 중에서 가장 시력이 좋은 새는 어떤 새일까? 아마 많은 분들이 아시겠지만 바로 '매'이다. 매의 시력은 사람보다 4~8배나 멀리 볼 수 있다.
매의 눈이 좋은 이유는 황반이라는 구조 때문이다. 황반은 물체의 상이 맺히는 곳으로, 매는 이 곳에 시세포가 집중적으로 분포하기 때문에 잘 볼 수 있는데, 특히하게도 매는 황반이 두개이다. 그래서 사람보다 훨씬 넓은 영역을 보게 되는데, 두개의 황반은 정면을 응시할 때 사용하는 황반, 좌우를 폭넓게 볼 때 사용하는 황반으로 그 역할이 정해져 있다.
하지만 매의 눈에도 단점은 있다. 바로 어두운 곳에서는 거의 볼 수가 없다. 그래서 매는 밤에는 눈 뜬 장님이나 다름 없다. 매를 사냥하려면 밤에 해야겠다. 하여튼 매가 밤에 볼 수 없는 이유는 시세포 중에 어두운 곳에서 작동하는 간상세포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상식적으로 밝은 곳에서 작동하는 세포는 원추세포라 한다. 그러므로 매는 원추세포는 많다는 소리이다.
영장류는 대부분 색깔을 구분한다. 즉 인간과 원숭이는 물체의 색상을 동일하게 바라본다는 소리다. 그러면 영장류를 제외한 동물들은 세상을 어떻게 볼까 궁금해진다.
인간과 가까운 개와 고양이를 알아보자.
개가 보는 세상을 이해하려면 특수한 장치가 필요하다. 일단 자세를 낮춰 지상 50cm로 자세를 낮추고 색상 구별이 안되고 30~60cm 거리는 초점이 안 맞는 특수안경을 제조해서 쓰고 앞을 보면 개가 보는 세상이다. 한마디로 흑백에 가깝고 주변은 뿌옇게 보여 물건을 정확히 잡기도 힘들다.
그러나 개가 색깔을 전혀 구분하지 못하는 건 아니다. '빨강-주화-초록'과 '파랑-보라'를 함께 인식한다. 즉 빨강과 파랑은 구분하지만 빨강과 초록은 구분하지 못한다. 그런데 어떻게 개는 주인을 정확히 알아보고 꼬리를 치는 걸까? 바로 냄새 때문이다. 사실 개가 보는 세계는 시각과 후각이 섞인 세계다.
고양이는 밤에 사람보다 훨씬 밝은 세상을 본다. 고양이 눈을 자세히 관찰해보면 알수 있는데 밝은 곳에서 고양이 눈동자는 세로로 길쭉하지만 어두운 곳에서는 활짝 열린다. 밤이 되면 카메라의 조리개를 활짝 열어 빛을 많이 받아들이듯 고양이 눈은 밤에 사람보다 더 많은 빛을 받아 들일 수 있다. 어두운 곳에서 고양이의 시력은 사람보다 수십 배 높다.
포유류보다 하등한 파충류, 양서류가 보는 세상은 어떨까?
파충류 중에서 뱀은 아주 특별한 시력을 갖고 있다. 뱀은 사람이 볼 수 없는 적외선을 볼 수 있다. 가끔 TV나 영화에서 작전중인 특수대원이 쓴 적외선 안경으로 보는 세상을 기억하면 된다. 뱀이 보는 세상이 그렇다. 그러니까 뱀은 늘 작전 중이다. 뱀은 눈 아래 있는 구멍에 골레이세포(golay cell)라는 특수한 신경세포가 적외선을 감지하는 것이다.
그러면 양서류인 개구리가 보는 세상 모습은 어떨까? 우선 개구리가 보는 세상은 매우 이채로운데, 세상이 온통 회색으로 뒤덮여 있다. 그리고 개구리의 눈은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움직이는 사물만 인식한다. 이는 처음 들어간 빛은 개구리의 시세포를 자극해 인지되지만 게속 비춰지는 빛, 즉 움직이지 않는 것은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개구리는 코 앞에 파리가 앉아 있어도 모른다. 그러나 일단 파리가 움직이면 개구리가 보는 회색 세상에 움직이는 것은 파리뿐이다. 다큐멘타리에서 본 긴 혀로 파리를 낚아채가는 모습은 파리가 움직이는 순간에 낚아채는 장면인 것이다. 이처럼 개구리는 꼭 필요한 것만 보는 셈이다. 흔히들 말하길 보는 만큼만 안다라고 한다. 이는 인간에게 해당되는 얘기만은 아닌거 같다.
'Repositorium >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물 다양성의 의미와 이스터섬의 비극 (32) | 2012.07.16 |
---|---|
지구상에 공룡이 존재한다면 (31) | 2012.07.05 |
유전자 조작 식품(GMO), 식탁에 올려도 안전할까? (44) | 2012.05.31 |
위기에 처한 생물들, 레드데이터북 & 레드리스트 등급 (43) | 2012.05.22 |
우울증을 극복하는 방법, 햇빛을 즐겨라 (34) | 2012.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