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6월 27일, 조선왕릉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조선왕조는 총 27명 임금이 있었다.
그런데 현존하는 조선왕릉은 42기의 능과 2기의 묘가 있다.
이는 역대 국왕의 능 이외에도 왕비의 능 그리고 추존왕의 능까지 있기 때문이다.
총 44기의 왕릉 중 조선 제 2대 임금인 정종의 후릉과 제릉(제 1대 태조의 정비 신의고황후릉)을 제외하고 남한에는 40기의 능과 2기의 묘가 조성되어 있다.
북한 지역에 있는 제릉, 후릉, 폐위된 연산군묘와 광해군묘 등 4기를 제외한 40기가 2009년 6월 스페인의 세비야에서 열린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전세계가 인정한 문화유산인 조선왕릉은 1408년 조성된 태조의 건원릉을 비롯해 1926년 순종의 유릉까지 거의 완벽한 상태로 보존되고 있다.
유네스코에서 정하는 세계문화유산의 기준 중에는 "인류 역사의 중요한 단계를 보여주는 건조물 유형, 건축적.가술적 총체 또는 경관의 탁월한 사례이어야 한다"라는 항목이 있다.
이는 조선왕릉에 꼭 맞는 기준이라 생각된다.
왕릉을 조성하면서 작성한 『산릉도감의궤』에는 석물의 배열이나 정자각의 조성 과정은 물론 산릉 조성을 위해 흙을 지어 나르는 데 참여한 단순 노역자의 이름까지 기록되어 있다.
이는 왕릉 중 일부가 불의의 사고로 훼손되거나 본래 모습을 상실한다고 해도 이 의궤를 통해 원래 모습으로 복원하는데 아주 중요한 자료이다.
이번 글에서는 조선의 1대 임금인 태조와 2대 임금인 정종의 왕릉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제1대 태조 : 건원륭
봉분은 잔디가 아닌 억새풀로 펖야 있는데, 이는 태종이 고향을 그리워하는 태조를 위해 조성한 것으로 전해진다.
위치 : 서울 성북구 정릉동 산87-16 / 사적 제208호 / 1409년(태종9) 조성
처음에는 덕수궁 뒤편인 지금의 정동 자리에 능역이 조성되었으나, 태종이 왕위에 오르면서 평민으로, 강등되고 현재의 위치로 옮겨졌다.
이후 태종은 정동의 정릉 영역에 있던 나무를 베어 세도가들이 저택을 짓는 것을 허락하였고, 능의 석물을 청계천 다리(지금의 광교) 복구에 사용하는 등 신덕왕후가 죽은 후에도 처절한 복수극을 벌였다.
제2대 정종 : 후릉
정종보다 7년 먼저 숨진 정안왕후의 능이 '후릉'이라는 능호를 받았는데, 후에 조성된 정종의 능도 정안왕후의 능호를 이어받았다.
조선 제2대 임금이었던 정종, 그는 동생 이방원이 차기 임금에 오르기 전까지 형식상 임금의 자리에 올랐고, 재위기간 역시 2년여도 되지 못한 채 바로 동생에게 왕위를 내준 임금이다.
정종은 죽어서도 그의 능이 오랜 세월 방치되었으니, 살아서나 죽어서나 처량한 임금이 아닌가 생각된다.
다음글에서는 조선3대 임금인 태종부터 5대 임금인 문종까지의 왕릉에 대해 알아보겠다.
'Repositorium > Hi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왕릉 이야기(3) : 장릉(단종)에서 창릉(예종)까지 (20) | 2012.01.22 |
---|---|
조선왕릉 이야기(2) : 헌릉(제3대 태종)에서 현릉(제5대 문종)까지 (24) | 2012.01.21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조선왕릉 (42) | 2012.01.20 |
고대 삼국의 건국신화 (29) | 2012.01.06 |
부족.왕권 국가들의 건국신화 (47) | 2012.01.05 |
우리나라의 건국신화 (49) | 2012.01.03 |
생생한 사진과 함께 잘 알고 갑니다~~
다음편도 기대하고 있을께요^^
조선왕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 좋겠네요.
행복한 하루되세요^^
왕릉 답사를 하면서 즐겨 보고 검색하고 찾았던 곳이라...
그 보는 재미가 더합니다. 설연휴... 즐겁게 맞으세요 님~~~
주리니님의 포스트가 생각나네요.
행복한 설날되세요^^
몰랐었는데 왕릉을 처음보네요
신기하기도하고 참 ㅋㅋ
잘보고갑니다^^
이번 기회에 조선왕릉에 관심을 가지시면 되겠네요.
오 유네스코로 지정 되었었군요
덕분에 정보를 알고 갑니다^^
이집트 피라미드 이상의 세계문화유산이 되도록 관심을 가져야겠네요.
왕릉이라..
국민학교때 소풍을 왕릉으로 가곤햇는데..ㅎㅎ
전 중학교때 간 기억이 있네요.
소중한 유산 앞으로 잘 관리해야겠습니다....
잘 보고 갑니다...행복한 하루 되세요.....*^*
모두가 귀중한 문화유산에 관심을 가져야겠네요.
행복한 하루보내세요^^
역사 공부. 중요한데 잘 하고 가요 ^^
우리 문화유산에 관심을 갖는것도 중요하지요.
조선 1대,2대 왕릉 소개 잘보고 갑니다^^
활짝 웃는 하루 되세요^^
감사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신덕왕후의 인생도 참 기구하네요;;;
정릉의 위치가 지금의 자리가 아니었더군요.
세계유산인지 몰랐었어요..ㅠ
죄송합니다.ㅠ
공부할께요.ㅠ
지금 알게되셨으니 모르는 분들보다는 빠른겁니다 ㅎㅎ
처음 알았어요.. ^ ^ 한국역사도 공부해야하는데..
좋은 글 잘보고갑니다~^^
세계사보다 한국사가 더 흥미롭지요.
덕분에 조선왕릉에 대해 알아갑니다^^ 다음글이 기대되네요^^
감사합니다.
다음에도 방문해주세요^^
오늘도 좋은글 너무 잘보고 갑니다~ ^^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ㅎㅎ
감사합니다.
행복한 시간되세요^^
왕들의 묘는 얼마나 신경을 쓸까 생각해 봅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구, 설연휴 즐겁게 보내셔요~!
아마 최고의 의례절차로 진행되었겠지요.
조선왕릉은 훼손없이 전해진 문화유산이라 더욱 소중히 관리해야 될거라 봅니다.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너무 잘 보구 갑니다^^
감사합니다.
즐거운 시간되세요^^
그냥 보내기 아까운 글이네요.
역사적인 자료가 되는 것은 정말 중요하지요.
유네스코로 지정된 것이니, 좋은 관리가 이루어졌으면 합니다!~
소중한 문화유산에 대한 관심이 가장 중요하겠네요.
왕릉이 많이 있군요..그것도 몰랐네요..ㅜㅜ
이런걸 어찌 다 아시는지요? 좋은글 잘보고 갑니다..즐거운 저녁 되세요..^^
임금뿐아니라 왕후, 추정왕의 능까지 하면 조선왕릉은 총 44기라 하니, 적지 않은 수이지요.
행복한 저녁되세요^^
어렸을때 집에서 가까운 곳에 연산군묘가 있었죠,,방학동부근이엇죠..
정말 왕의 묘라고 할수 없을정도로 초라해서 정말 왕의 묘인가하고 의심하기도 했었죠..^^
연산군은 조선 10대왕이죠.
역대 임금 중 가장 혼군이었으니, 죽은 이후에도 제대로 대접을 못 받는군요.
왕릉여행이라 역사공부네요.
모두가 조선 왕릉에 더 관심을 갖으면 좋겠네요.
왕릉은 많은데 쉽사리 접해보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
정릉이 참 아픔을 많이 당했었군요.
복많이 받으시고 설명절 잘 보내시길 바랍니다.
왕릉은 가까이 있어도 쉽게 찾지 못한거 같습니다.
설 명절 잘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