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원을 최초로 통일한 진시황의 진나라는 그리 오래가지 못했다.
진나라가 멸망한 뒤 항우의 초나라와 유방의 한나라가 중원의 양대 세력으로 등장하여 자웅을 겨루게 된다.
먼저 패권을 잡은 건 서초패왕이라 칭한 항우였지만, 곧이어 유방에게 패하고 만다. 그리고 항우가 최후를 맞는 유방과의 마지막 결투에서 사면초가라는 말이 생겨 났다.
사면초가(四面楚歌)란 '주위가 적으로 둘러싸여 도움을 청할 수 없는 상황'으로, 유방에게 패해 도망가던 항우가 처한 상황을 일컫는 말이다.
사면초가에 빠진 항우
도주하던 항우가 해하(지금의 안휘성)에 진을 치자 유방은 항우 군을 몇 겹으로 포위해 버렸다.
그리고 군사를 풀어 밤마다 초나라 노래를 부르게 하는 등 심리전을 펼치자 이를 들은 항우의 병사들은 고향 생각에 도망가거나 사기를 점점 잃어 갔다.
사면초가는 바로 이 때의 광경, 즉 사면(四面)에서 '초나라의 노래(楚歌)'가 들려오는 상황을 일컫는 말이다.
항우는 결국 애마를 몰아 장렬히 싸우다가 자결하고 만다.
그런데 항우의 최후에 그의 죽음보다 슬픈 이야기가 있다.
패왕별희 - 항우와 우미인의 이별
항우가 마지막 출전에 앞서 애첩 우미인에게
"우희(우미인의 본명)여, 우희여, 그대를 어이한다 말이냐?"라고 근심하자
우미인은 항우에게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세월이 흐른 뒤 그녀의 무덤에 한 송이 아름다운 꽃이 피어났는데 사람들은 이 꽃을 '우미인이 환생한 것'이라며 '우미인초(虞美人草)'라 불렀다.
중국의 유명한 경극 패왕별희는 항우와 우미인의 이야기를 묘사한 연극으로, 경극에서는 항우가 이별의 시를 읊고, 우희는 항우에게 마지막 술잔을 올린 뒤 검무를 추다 자결하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다.
'Repositorium > Intere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도 수에 따른 세계 종교 순위 (25) | 2013.12.22 |
---|---|
그레셤 법칙 - 동전의 테투리에 빗금이 생긴 까닭 (44) | 2013.12.17 |
사면초가와 패왕별희 - 항우와 유방의 마지막 결투 (10) | 2013.12.15 |
복마전 - 수호전 108 명 주역들이 잠자던 곳 (16) | 2013.12.14 |
지구 자원의 잔량 (15) | 2013.12.10 |
그리스 신화 - 우라노스와 가이아의 자식들 (19) | 2013.12.06 |
안녕하세요^^
포스팅 잘보고 가요~~~
따뜻한 휴일되세요!
오늘도 좋은 글 잘보고갑니다. 즐거운 하루되세요
사면초가라는 사자성어를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하네요^^
사면초가라는 말 잘 알고갑니다
사면초가에 대해서 잘 알아 갑니다^^
덕분에 재미나게 알아갑니다 ^^
알찬 주말을 보내셔요~
사면초가 이야기 잘 보고 간답니다^^
편안한 저녁시간 보내세요~
비밀댓글입니다
흥미롭게 잘 읽어보고 간답니다^^
검무를 추다 자결하는것으로 되어 있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