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을 보는 창/의미있는 일상

사라져가는 정월 대보름 풍습들

 

묵은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는 설날이 지나 첫 달이 꽉 차는 보름이 오면 설날보다 훨씬 많은 일들이 기다리고 있다.

로 한 해의 농사에 대한 궁금증을 알아보는 풍습이 많지만 즐거운 놀이와 재밌는 덕담으로 건강과 행복을 기원하면서 사람들과의 친목을 도모하는 행사들이 유난히 많은 날이기도 하다.

 

 

 

 

다양한 대보름 풍습들

오곡밥을 아홉번 먹고 나무 아홉짐을 해서 건강함을 확인하고 1년간의 건강을 기원하였고 땅콩이나 호두,잣 등 딱딱한 견과류를 깨물며 부스럼이 나지 않기를 그리고 치아가 건강하기를 기원하였다.

 

 

 

귀를 밝게 해 준다는 청주를 한 잔 마시고 다가 올 한여름 무더위를 처음 만난 사람에게 팔기도 한다. 달집태우기나 쥐불놀이, 연날리기, 줄다리기, 복조리 달기, 놋다리밟기등은 아직도 사라지지 않았지만 점점 사라져가는 대보름 풍습들이 더 많아 아쉽다.

 

 

보름날 새벽 아녀자들은 첫 우물물을 길어와 풍년과 운수대통을 기원하였고 닭의 첫 울음소리가 열 번 이상 들리면 풍년이 들고 소에게 밥과 나물을 주어 소가 밥을 먹으면 풍년이 든다고 믿었다. 새벽 도성 네거리에의 흙을 퍼다가 집 네 귀퉁이에 뿌리면 재물이 모이며 수수깡에 콩알 12개를 넣고 우물에 두었다가 다음 날 콩의 불린 상태를 보고 풍년을 예측하였다.

그 해 운수가 나쁘다고 점괘가 나온 사람은 짚으로 허수아비(제웅)를 만들어 머리통에 돈을 넣어 길에 버리는데 아이들이 머리통에서 돈을 꺼내고 허수아비를 던지며 끌고 다니는데 이는 액막이의 일종으로 제웅치기라 한다. 그리고 아이들에게는 겨우내 만든  삼색의 작은 조롱박을 실에 꿰어 옷에 달고 다니게 하다가 보름전날 밤 길에 내다 버렸는데 이것도 액막이의 일종이었다.

 

 

한해를 점쳐보는 대보름 풍습

보름이라 저녁 행사는 더 풍부하였다.

보름달을 처음 본 사람에게는 운수가 대통한다하였고 달의 색감으로 그 해 기후를 점쳤다. 달빛이 희면 비가 많이 오고 붉으면 가뭄이 들 것으로 예상했다. 마당 한 가운데 나무를 세워놓고 달빛에 드리워진 나무 그림자의 길이로  그 해 농사의 풍년을 가늠하였다.

조상들의 보름날 행사를 보니 새롭게 시작하는 한 해에 대한 여러가지 궁금증을 미리 예측해보는 풍습들이 많다.  생계가 달려 있는 농사에 대한 염려가 가장 크고  함께하는 모든 사람들이 무사무탈하게 한 해를 지내기를 바라는 간절한  염원이 담긴 것이 대보름 풍습이다.

 

자연에 대한 경외감과 인간에 대한 훈훈한 애정이 담긴 정월 대보름 풍습이 하나 둘 사라지는 것이 못내 아쉬운 이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