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view@all/영화 이야기

[영화 리뷰] 변호인 - 법의 공평성이란?

 

이 영화가 개봉되기전 부터 이슈가 되었던 건 극중 인물이 특정 인물을 연상시키기 때문이었다. 변호사라는 직업과 부산이라는 지역, 그리고 고졸이라는 학력으로 떠오르는 얼굴, 바로 노무현 전 대통령이다. 그 분의 실제 삶을 그린 영화는 아니지만 삶의 궤적을 많이 벗어나진 않았다고 보여진다.

영화 시작 전, 맨 앞자리 남성들이 신발을 벗고 발을 뻗으며 큰소리로 웃고 떠들던 모습이 혹시 이들이 영화 상영이 못마땅해 일부러 온 사람들이 아닌가 싶어 기분이 불쾌했는데 아니나 다를까 상영 중간 중간 의미 없는 웃음소리와 대화소리가 귀를 거슬리게 하였다.

 

 

 

1980년대 돈에 찌들리는 가난한 고시생 송우석은 아내가 출산하는 날 병원비조차 마련하지 못하는 자신을 자책하면서 다시 공부에 매진한다. 변호사가 되었지만 고졸의 학력은 법조계에서도 이방인같은 존재였다. 돈이나 벌자는 심경으로 낙향한 그는 돈만 버는 변호사로 승승장구하고 아내와 아이들과 행복하고 편안한 삶을 살아간다.  오랜 인연이 있던 국밥집 아주머니의 아들이 시국사건으로 불법 연행되어 재판을 받게 되자 고민 끝에 변호인을 자청한다.

치열한 삶을 살아 온 그가 봄바람 부는 평탄한 삶을 살기 바랬던건 너무나 당연하다. 모른척하기도 하고 알고도 외면했지만 세상은  다시금 그를 치열한 터전에 세웠다. 그가 분노한 것은 법이 만인에게 공평치 않다는 간단한 이유였지만 그만 몰랐다.  법은 힘 있는 자들에게만 쏠리는 마법에 걸린 저울이라는걸 말이다.

 

 

 

 

극 중 대사중에 1980년대 우리나라 국민소득으로는 국민의 힘으로 나라를 바꾸기 어렵다는 말이 나온다. 너 혼자 애써봐야 헛수고이니 끼어들지 말라는 말이다. 제대로 돌아가지 않는 세상이라는걸 알지만 누구 하나 나선다고 해결될 일이 아니니 너무 애쓸 필요 없다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다.  계란으로 바위치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바위는 죽은 것이고 계란은 산 것이니 언젠가 바위는 깨져서 모래가 되지만 계란은 바위를 넘을 수 있다.'(극중 대사 중에서

 

 

 

세상 일이 나와 가까운 사람에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면 극심한 고통이 따르는 일에 나설 사람은 별로 없다. 극중 송우석 변호사도 가족과도 같은 지인이 연루되어 변호를 맡게 되었고 그 과정에서  법의 불공평한 집행으로 억울한 이들이 많이 있음을  알게 되어 앞장 서게 되었다.

나대신 나서준 그에게 몰래 기둥 뒤에 숨어서 박수를 쳐 주는 비겁한 나를 보게 되어 씁쓸하다.  현실은 여전히  계란으로 바위치기 같아 보이니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