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태의 별명
명태는 대구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이다.
그런데 원래 이름은 '명태'이지만 잡는 방법이나 처리하는 법에 따라 다양한 별명으로 불린다. 그물로 잡았다면 '망태'라 불리고, 낚시로 잡았다면 '낚시태'라고 부른다.
또 제철인 1~3월에 난 것은 '동태'라 하고, 말리지 않은 것은 '생태'라 하며, 말린 것은 '북어'라고 부른다. 특히 얼부풀어서 더덕처럼 마른 북어는 '황태'라 한다.
그리고 맥주 안주로 최고인 '노가리'는 명태 새끼를 말한다.
명태의 어원
그러면 '명태'라는 이름은 어떻게 붙은 걸까?
조선조 말 이유원의 문집인 『임하필기』에 명태의 어원에 대한 이야기가 실려 있다. 함경북도 명천에 태씨성을 가진 사람이 물고기를 낚아 주방 일을 맡아보는 관리로 하여금 도백(관찰사)에게 바치게 했다.
도백은 이를 먹고 무슨 고기냐고 물었으나 아무도 대답하지 못하자, 한참 후에 도백이 답을 내 놓았다.
"태씨 성을 가진 어부가 잡은 것이니 명태라고 하는 것이 좋겠다."
그 후로 이 고기는 '명태'가 되었다고 한다.
임하필기(林下筆記)
조선 말기의 문신 이유원이 자신의 수록류(隨錄類)와 악부시를 모아 엮은 책으로, 이 책은 저자가 광범한 분야에 걸쳐 수의(隨意)·수록(隨錄)한 것을 한데 모은 잡서로서 한국학 분야의 연구자들에게는 필수 불가결한 자료로 이용된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Repositorium > Intere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면과 죽음의 상관관계 (4) | 2014.02.12 |
---|---|
바벨탑과 돌고래의 언어 (8) | 2014.02.12 |
명태의 어원 그리고 별명 (12) | 2014.02.09 |
브래지어 사이즈 - A컵에서 D컵을 넘어 I컵 까지 (8) | 2014.02.08 |
장승요와 화룡점정 (11) | 2014.02.02 |
베르사유 궁전에 화장실이 없는 이유 – 에티켓의 유래 (33) | 2014.01.29 |
명태의 어원이 이런 일이 있었네요 ㅎ
잘 알아가네요 ^^
명태의 어원이 이런것이었군요
맞아요...명태 별명이 참 많죠...
예전에는 다 다른 고기 인 줄 알았었어요..ㅎㅎ
명태의 어원에 대해서 흥미롭게 보구 갑니다^^
명태에 대해 잘 알아 갑니다 ^^
정말 다양한 이름을 지니고 있는것 같아요~!!
노가리가 명태 새끼였군요ㅎㅎㅎ
잘 보고 갑니다~
저도 노가리가 명태새끼인줄 몰랐다는...^^
명태에 대해서 잘 알고 갑니다 ㅋ
추천도 꾸욱~~~ㅋ
즐거운 하루 도ㅣ세요~
우리가 흔히 먹고 있는 명태에 이런 어원이 있다니. 시기하고 재미있네요^^
명태,북어,동태,생태, 황태 등은 들어봤는데 망태와 낚시태는 처음 듣네요
하나 배워 갑니다
생태도 좋고 북어국도 좋고..여러모로 쓸모가 많은 어종이죠
이름이 저렇군요.
저는 몇 가지는 전혀 다른 것으로 생각했어요.
명태의 어원중 조선조의 명성의 태서방이 처음르로 잡은 고기는 틀린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중국어를 공부하다 명태가 明太鱼子라고 되어 있는데 설마 조선 명태를 중국인이 명태라고 따라 쓰지는 않았을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