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을 보는 창/동화로 보는 세상

[동화] 두 개의 이름 - 캐나다 원주민 이누이트 이야기

 

동화 '두 개의 이름' 

 

 

 

긴 머리를 자르고 이름을 새로 지어주고 아침부터 밤까지 공부와 고된 허드렛 일로 나를 지치게 했던 기숙학교를 떠나 집으로 오면 편할 줄 알았는데 2년 여의 외지 생활은 나와 가족을 멀게 만들었다.

내 이름은 올레마운, 하지만 기숙학교에서는 내게 마거릿이라는 이름을 지어 주고 북극에 사는 이누이트인이 아닌 새로운 캐나다인으로 살기 위한 서양식 교육을 시켰다. 

 

 

 

기숙학교에 있던 마거릿은 양배추 수프를 먹지 못했는데 집에 돌아 온 올레마운은 핍시(이누이트인의 고유 음식:말린 생선)를 먹지 못한다.  

기숙학교에 있던 마거릿과 이우이트인 올레마운 사이에서 혼란스워하는 나를 아버지는 느긋하게 기다려 주신다. 

 

 

 

크리스마스에 이누이트인의 상징인 개썰매를 선물받고 탄탄한 올레마운이 된 나는 동생들을 데리고 다시 기숙학교로 돌아가지만 이젠 기숙학교에 가도 당당한 이누이트인 올레마운으로 살아갈 수 있는 용기가 생겼다.

 

 

나는 이누이트인 올레마운

캐나다의 원주민에는 이누이트인과 퍼스트 네이션이라 불리는 부족 사람들이다.

하지만 자원이 풍부한 캐나다에 영국인을 비롯한 유럽 사람들이 들어오면서 원주민에 대한 이주 계획 중 하나로 '서양식 교육'이 실시되었고 원주민들은 자기 의사에 반하는 교육을 억지로 받아야 했다.

주로 어린 아이들을 모아 놓고 영어를 사용하는 신교육과 문화를 접하게 하여 원주민 고유의 전통적인 생활방식을 버리도록 하는 게 목적이었다. 아이들의 장래를 위해 정부의 방침대로 학교에 아이들을 보냈던 이누이트 부모들은 낯설게 변해버린 아이들을 보며 괴로워했고 이누이트 아이들은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혼란스러워 해야 했다.

 

 

 

올레마운은 실제 인물이다. 그녀를 포함한 많은 이누이트인들이 반강제적으로 서양식 기숙학교에서 노동착취와 함께 교육을 받았다고 한다.

새로운 세상에 나아가는 방법쯤으로 생각했지만 정작 교육을 받은 이들은 원주민도 아니고 서양인도 아닌 애매한 자신을 보며 괴로워하는 이들이 많았다고 한다. 세월이 흐른 지금, 이들이 삼삼오오 모여 그 동안의 아픔을 이야기하며 자신들의 고유한 전통문화를 지키기 위한 노력을 지금도 꾸준히 하고 있다.

이누이트는 '사람'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동화로 보는 세상

얼마 전 방송에서 미국에서 오랫동안 생활했던 딸이 아버지와의 소통에 힘들다며 즉석상담을 요청했다.

그녀의 말투는 직설적인 서양식이었고 아버지의 말투는 여러가지 속 뜻을 담은 전형적인 한국식 화법이 문제였다. 생활은 언어를 바꾸고 바꾸어진 언어는 사고방식을 바꾸게 한다. 문화가 다르고 전통이 다른 이유이다.

하지만 아직도 '미개'라는 말로 상대의 문화와 전통을 폄하하고 없애려는 경우가 많다.

 

인간의 생활에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것 중 하나가 언어이다. 언어는 그 사람의 생각을 표현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사람이 사용하는 언어가 무엇이냐에 따라 정체성이 달라진다고 하겠다.

캐나다에 먼저 살고 있던 원주민들에게 그들의 언어와 전통문화를 빼앗으려한 것은 일제시대 때 일본이 우리말과 글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여 고유한 정신과 혼을 말살하려고 했던것과 같다.

더 강한 이누이트인으로 돌아 온 올레마운에게 박수를 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