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sitorium/Book

[한문 단편소설] 연암 박지원의 예덕선생전 – 진정한 스승의 모습은

 

단편소설 예덕선생전

실학자 이덕무(호는 선귤자)에게는 예덕선생이라 불리는 벗이 한 사람 있다. 그를 예덕선생이라 이름을 지은 것도 바로 선귤자이다. 예덕선생의 이름은 엄행수인데 그가   하는 일은 마을의 똥을 치우는 것이라 사람들은 그를 더럽다고 멀리 하였다.

선귤자의 제자 자목은 스승이 똥 치우는 엄행수를 벗으로 여기는 것이 불만스러워 스승의 곁을 떠나려 하였다. 이에 선귤자가 자목에게 벗에 대해 이야기를 들려 주었다.

무릇 장사꾼은 친구를 사귐에 있어 이익을 생각하고 양반은 아첨으로 벗을 사귀기 때문에 아무리 친해져도 세 번만 부탁을 하면 사이가 멀어진다. 그리고 아무리 원수여도 세 번만 선물을 주면 친해지지 않을 사람이 없다.

하지만 엄행수는 비록 더러운 똥 치우는 일을 하지만 누구보다 부지런하며 욕심이 없다. 그는 해마다 정월 초하루에 깨끗한 옷으로 갈아입고 마을 어른들께 인사를 드리고 먹을 것이나 입는 것에 욕심을 부리지 않는다. 엄행수가 모아 놓은 똥들은 좋은 거름이 되어 밭을 비옥하게 하고 많은 수확을 거둘 수 있도록  해 준다.   

엄행수가 이럴진대 선비가 가난을 자랑하듯 티 내고 출세했다고 자만하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자신이 베푸는 덕을 똥 속에 감추고 자신을 낮추어 살아가는 엄행수야 말로 참된 은자이다. 그러니 엄행수는 벗이 아니라 스승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예덕선생이라 부르는 것이다.

 

 

  

진정한 스승의 모습은

'예덕'이라는 말의 원래 뜻은 좋지 않은 행실을 뜻하지만 이 책에서 말하는 예덕은 천하지만 참된 덕성을 의미한다. 당대 최고의 학자 중 한 사람인 선귤자가 미천한 엄행수를 보고 선생이라 호칭한 것은 부정부패한 위정자들의 언행에 일침을 가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다고 하겠다. 

선귤자가 말 한대로 엄행수의 행실은 의도했든 그렇지 않든 도의 경지에 오른 은자의 모습과 다를 바가 없다. 자신이 처한 자리에서 욕심부리지 않고 사람의 도리를 다하는 엄행수, 더러운 일을 하지만 속은 맑은 사람과 겉은 깨끗해 보여도 속내가 더러운 사람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

아는 만큼 보인다라는 말이 있다. 참된 은자인 선귤자의 눈에는 엄행수가 똥 치우는 일을 하는 게 아니라 세상의 더러움을 치워주는 은자의 모습으로 비춰졌고 제자인 자목은 스승의 뜻을 알아채지 못하였다.

아마도 세상 사람들 대부분이 자목과 같을 것이다.    

 

 

실학자 연암 박지원

흔히 사회 지도층이라 불리어지는 사람들은 학문이 깊고 바른 인격을 가진 사람들을 말한다. 그들의 지식과 지혜는 말과 행동을 통해 사회적인 영향력을 끼치므로 매사에 심사숙고 해야 한다.

하지만 예나 지금이나 권력과 경제적인 지위를 이용해 군림하려는 이들이 더 많다. 선귤자는 이들에게 엄행수를 보면서 자신을 돌아보기를 당부 하고 있다.

 

 

 

조선의 실학자 연암 박지원은 당시 허례허식과 구태에 빠져있던 세태를 비판하고 배척의 대상이었던 중국의 선진문물을 배우고 실천하려 한 북학의 선두 주자였다.

한문 단편소설인 이 작품(예덕선생전)은 생산적이지도 도덕적이지도 못한 양반에 대한 비판과 벗이란 시대와 공간을 초월하여 나를 깨우침에 이르도록 해 주는 사람이란 걸 알려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