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뉴스에서 들으니 한 집에 한명이 사는 단독 가구수가 많이 증가했으며 그 증가 속도가 빠르다고 한다. 핵가족화로 노부모 없이 3-4명이 사는 가구수가 증가한다는 소식을 들은 지가 얼마 안된것 같은데 벌써 또 다른 모양새로 변화를 하고 있는 모양이다.
그러다보니 주거형태가 변하고 그에 따라 먹는 형태도 변화를 보이고 있다.
먹는다는 것은 같지만 예전처럼 매일매일 그때그때 만들어 먹기보다 만들어진 것이나 반조리상태의 식품들이 앞다퉈 개발되고 많이 팔리고 있다고 한다.
따라서 싱싱한 생물만을 취급하는 전통시장의 물건들이 그들에겐 외면받을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서울에 남아 있는 전통시장이 전부 몇개쯤 될까?
그중 지금도 활성화되어 잘 운영되고 있는 곳보다 점차 내리막길을 걷고 있는 곳이 더 많을 것이다.
건물 인테리어나 주차시설등이 잘 되어 있는 대형마트를 전통시장이 따라할 수는 없다.
지금은 대형마트에 빼앗긴 고객들을 되찾아오기 보다는 대형마트를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전통시장에서의 상품구입도 이익이 된다는 걸 보여주고 양쪽을 모두 이용하게 만들어야 한다.
대형마트의 특장점이 있듯 전통시장도 특장점이 있을 것이다.
그 중 가장 사람들이 많이 생각하는 것이 '저렴한 가격'일 것이다. (물론 품목에 따라 다를수 있겠지만)
그렇다면 이 장점을 최대한 살려야 한다.
우리 동네에도 전통시장이 있는데 점점 상권이 죽어가는게 눈에 보인다.
그런데 유독 2집이 그나마 장사가 잘 되는 가게가 있다.
야채가게와 과일가게인데 야채가게의 경우 야채 종류가 다양하지는 않지만 그날 바로 먹거나 조금 더 사다가 저장해놔도 문제없을 품목들이 투명 봉투에 싸여 가격표가 붙여 있다.
상추와 깻잎, 고추류와 오이, 감자, 당근, 파, 양파.버섯종류, 콩나물, 두부 그리고 제철에 나는 채소류가 몇가지 더 추가된다.
보통은 천원이나 이천원선이고 가격이나 무게를 따로 달지 않고 바구니에 봉지째 담으면 바로 계산이 되기 때문에 부담이 없는 곳이다.
5-6가지 정도 사도 만원정도로 일주일 분량의 채소를 살 수 있는 곳이다.
그러다보니 오후 시간대에는 사람들이 바글바글하다.
과일가게도 마찬가지로 과일 종류가 다양하지는 않지만 제철 과일위주로 판매를 한다.
주로 바구니에 담아 가격표를 붙여 놨는데 크기가 좀 작을뿐 맛은 좋다.
집에서 먹을 후식이나 간식용으로는 전혀 문제가 없다.
이 집은 손님들에게 먹어보라며 시식용으로 잘라놓기도 한다.
주인 아저씨가 과일을 잘 보시는 분인가 보다 그 가게 과일은 항상 맛이 좋다.
그리고 두 가게의 공통점은 덤을 준다는 것이다.
야채가게에서는 많이 사는 사람에게 아직 포장되지 않은 야채 중 하나를 조금 더 담아준다.
물론 덤으로 주는 품목은 주인 맘이다.
과일가게도 마찬가지로 덤을 주신다. 2개 더 주는 날은 횡재한 기분이 들기도 한다.
이런 맛으로 전통시장을 가는것이 아닐까?
전통시장의 장점이 저렴한 가격이라면 그 가격을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해야 한다.
한근에 얼마에요? 한근이 얼만큼 되나요? 무게 좀 보게 담아 보세요?
이런저런 주문이 많으면 파는 사람도 사는 사람도 부담스럽다.
같은 품목의 경우 확실히 전통시장은 대형마트에 비해 가격경쟁에서 이길 수 있다.
그러니 경쟁 우위에 있는 '저럼한 가격'을 앞세워 고객의 발길을 돌리도록 해야 한다.

이 장소를 Daum지도에서 확인해보세요.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6동 | 신곡종합시장
'세상을 보는 창 > 느낌있는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통시장을 찾아서:신곡시장] 보리비빔밥집에서 외할머니의 냄새가 난다 (55) | 2012.02.14 |
---|---|
[전통시장을 찾아서:신곡시장] 전통시장에서 만나는 다양한 요리 레시피들 (56) | 2012.02.14 |
[전통시장을 찾아서:신곡시장] 전통시장을 활성화 하려면 재래시장의 장점을 살려야 한다 (44) | 2012.02.13 |
[전통시장을 찾아서] 30년 전통을 자랑하는 신곡시장을 둘러보다 (32) | 2012.02.12 |
아파트 숲 사이로 펼쳐진 오일장 구경 (38) | 2012.01.27 |
덕수궁, 조선의 마지막 왕조 그 쓸쓸함을 만나다 (68) | 2011.11.21 |
지혜로운 소비자는 양쪽의 장점을 잘 활용하더군요.
잘 보고 갑니다.^^
가장 현명한 사람이겠네요.
전적으로 공감합니다
시장이좀 살아야할텐데 ㅠㅠ
재래시장도 함께 공존하는 모습이 더 살 맛 나겠지요.
좋은 포스팅 너무 잘보고 간답니다~ ㅎㅎ
새로운 시작인 월요일~
날이 추우니 옷 따뜻하게 입으세요~ ^^
즐거운 한주 보내세요^^
그러게 말이에요~ 완전 공감합니다!!
재래시장의 장점을 살려 전통시장을 활성화시켜야해요^^
전통과 재미가 함께하는 재래시장이 늘 옆에 있다면 또다른 여유가 되겠지요.
비밀댓글입니다
월요일부터 바쁘게 시작하시는 한주인가 봅니다.
그래도 즐거운 맘으로 한주 보내세요^^
새로운 한주의 아침이네요.
주말은 날씨가 좋아서 좀 나돌아 다녔는데..
이번주는 어떨지..
좋은날.. 좋은한주.. 홧팅입니다.^^
즐겁고 활기찬 한주 열어가세요^^
활기넘치는 행복한 시장이 되었으면 좋겠어요.ㅎ
꼭 그렇게 되었으면 좋겠네요.
즐거운 한주되세요^^
서로 공생하며 살아 나가는 방법을 없을까?
곰곰히 생각하면 있을 법도 한데 말이죠.
분명히 재래시장만의 장점이 있을겁니다.
혼잡한 대형마트가 아닌 정이 있고 재미가 있는 재래시장이 계속되었으면 합니다.
저도 가격이나 품질 경쟁우위를 살려야 한다고 봅니다.
어딜가도 안되는 가운데 잘되는곳이 있군요.
재래시장만이 가질 수 있는 장점을 살려야 되겠지요.
분명 비법은 있을 겁니다.
전통시장 살리기 캠페인에 참여하고 계시군요.
저도 지난 달에 참여하며 인근 전통재래시장을 처음 찾았는데 넓은 규모와
현대식 시설에 깜짝 놀랐었죠 ^^
시장 탐방을 하셨군요. 그런데 신곡시장은 오래된 시장이지만 뉴타운때문에 상권이 많이 죽은거 같아 안타깝더군요.
역시 전통시장은 매력적인 곳 같아요. 구석구석 볼 곳도 많고 말이죠^^
전통시장의 구석구석을 찾아보는 재미도 대단한거 같아요.
시장에서 사는 과일과 야채가 싸고 맛있죠^^! 이건 시장에서 꼭 삽니다.
시장을 잘 활용하시네요.
전 개인적으로 전통시장을 좋아해요^^
잘보고 갑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전통시장을 좋아하는 분이 많아졌으면 좋겠네요.
행복한 저녁 보내세요^^
이제 경쟁은 필수죠... 그 경쟁에서 어떻게 살아남느냐?
그리고 변화하느냐? 변화하지 않느냐가 가장 중요하네요
그렇죠. 무작정 재래시장을 이용해주세요 할순 없겠죠.
분명 매력과 장점이 있으면 찾아오겟지요.
전통시장이... 다 죽어버렸네요. ㅠㅠ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저희집은 마트를 거의 안간답니다...
저렴하고 품질 좋은 제품을 파는 시장이 가까이에 있기 때문이지요..
전통시장이 침체기를 벗어나.. 더욱 활성화 되면 좋겠습니다.. ^^
라오니스님처럼 시장을 사랑하는 분이 많았으면 합니다.
좋은 글 잘보고갑니다~^^
즐거운 한주 보내세요^^
전통시장이 살아나야 하는데.. 그나마 다행인것은 지방자치단체에서 SSM규제가 확산되는 듯 해서 다행입니다.
반가운 소식이네요.
전통시장을 살리기 위한 많은 아이디어도 나왔으면 좋겠네요.
요즘은 전통시장도 깔끔하게 정돈하여 자주 찾게 되더라구요.
잘 보고가요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전통시장이 많아지나 봅니다.
요즘 전통시장만큼 대형마트의 가격도 싸더군요.
시장에서도 위생을 중시하고, 사람간의 정을 좀더 활발하게 이루어서 단골할인같은것을 자주했음 합니다~
각종 이벤트도 빠질 수가 없지요!
전통시장들도 충분한 경쟁력이 필요하겠지요.
저절로 찾아오는 일은 없을겁니다. 무언가 재래시장만의 매력이 어필되어야 시장에 사람들이 북적거리겠죠.
까움이님의 의견에 100% 동감입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