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달력을 보면 2월은 29일까지 있다. 그래서 이날 태어난 사람은 4년마다 한번씩 생일이 돌아오기 때문에 억울하다. 100년에 한번은 8년이 지나야 생일을 맞으니 남들보다 생일상을 못 차리니 마른 사람이 많지 않을까 궁금하다. 아니면 양력 생일이 아닌 음력 생일을 지내지 않을까 생각한다.
(실제로 4의 배수인 년에는 2월이 29이나, 100의 배수일 때는 2월이 28일 이며, 400의 배수일 때는 또 2월이 29일임)
그러면 왜 이런일이 생겨났을까? 그 이유는 바로 서양 달력이 만들어진 배경에 있다.
지금 전세계가 공용으로 쓰는 달력은 그레고리우스력으로 1582년 로마의 교황 그레고리우스 13세가 만든 달력이다.
이번 글에서는 서양 달력이 만들어진 역사적 배경과 모순점이 있는 서양 달력의 실체를 알아보도록 하겠다.
서양 달력의 탄생 배경
그들이 1년의 날수를 비교적 정확히 안 것은 나일강 범람 때문이다. 나일강이 범람하고 나면 강 주변으로 옥토가 만들어지므로 본격적인 밀농사를 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그들은 나일강이 언제 범람하는지 알기 위해 하루하루를 손꼽아 기다리다 1년 길이를 정확히 알게 된 것이다. 그때 이집트인들이 계산한 1년 365일은 30일짜리 12개로 360일을 진정한 1년으로 보고 남은 5일은 불필요한 날로 보아 이때는 일을 하지 않고 축제를 열었다.
그런데 이집트 달력도 완벽하지는 않았다. 실제 지구의 공전주기를 재어보면 1년의 길이는 365.25일 그러니까 365일 하고도 약 6시간이 남는다. 이 편차를 없애기 위하여 율리우스력(고대 로마의 율리우스 시저가 만든 달력)에서는 4년마다 윤년을 두어 하루를 추가했는데 이 때문에 4년에 한 번씩 2월이 29일이 되는 것이다.
하지만 율리우스력도 완벽하지는 않았다. 16세기 그레고리우스 13세 시대에 와서 그 편차는 열흘로 벌어졌다. 당시 발전한 천문학에 따라 정확하게 1년을 계산했더니 365일 5시간 48분 46초라는 결과를 얻었다. 율리우스력과 실제 해의 운동을 비교해보아 11분의 편차가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그렇게 1,500여 년 동안 벌어진 편차로 춘분을 계산하면 3월 21일이어야 할 1582년 춘분이 3월 11일 이었다. 1583년부터 춘분이 제대로 3월 21일이 되도록 하기 위해 그레고리우스는 1582년 10월 4일 다음 날을 억지로 11일 더함으로써 10월 15일로 하여 1583년부터는 춘분이 3월 21일이 되게 했다.
말하자면 역사적으로 이 10일은 사라진 시간이 된 것이다.
서양 달력의 모순투성이
지금의 서양 달력을 보면 어느 달은 31일이고, 어느 달은 30일로 되어 있어 원칙이 없다.
한 달이 꽉 찼으면 다음 달엔 하루가 모자란 식으로 잘 나가다 꽉 찬 7월이 지나 모자란 달이 되어야 할 8월에도 꽉 찬 달이다. 그 때문에 애꿎은 2월이 손해를 봐서 28일로 줄어 들었다.
7월이 꽉 찬 달인 것은 시저가 율리우스력을 제정하면서 자기 생일이 들어 있는 7월을 꽉 차게 만들어 그에 따라 순서를 정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로마 최초의 황제 아우구스투스도 황제의 권위를 보이기 위해 자신의 생일을 기념하려고 8월을 31일로 늘리면서 달력이 이상해진 것이다.
또한 서양력 달 이름을 보면 명명에 특별한 원칙이 없다.
7월(July)과 8월(August)은 사람 이름이고, 9월에서 12월은 7월에서 10월을 뜻하는 이름이 틀리게 붙여진 것이며, 1월에서 3월은 별 뜻없이 붙여진 이름이다. 다만 4월에서 6월까지가 비로서 자연 변화의 뜻을 담고 있다.
이러한 엉터리 달력에는 장점이 없는 걸까? 그렇지는 않다.
오차는 있지만 율리우스력이 1년의 길이를 근사치에 가깝게 정한 것처럼, 그 후신인 그레고리우스력은 더욱 그 오차를 줄여 놓았다. 그 정확도가 약 2천 년에 하루 정도 오차가 나는 것에 불과하다고 한다.
그런데 그 오차가 근본적으로 일어나지 않게 하는 달력은 과연 없는 걸까? 정답은 없다.
아무리 정확한 달력을 만든다 해도 세월이 지나면 또 편차가 생길 수 밖에 없다. 그 이유는 지구가 태양의 둘레를 도는 실제 1년의 길이조차 100년에 0.5초씩 점점 줄어들고 있기 때문인데, 그것도 20세기 초에 와서 알게 되었다.
'Repositorium >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콩 심은데 콩 날까? 유전자의 진실은 (52) | 2012.03.19 |
---|---|
지구온난화에 대한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 (38) | 2012.03.01 |
2월이 29일, 서양달력은 모순투성이다 (67) | 2012.02.28 |
세상을 바꿀 놀라운 과학기술들 (55) | 2012.02.17 |
태양계 비밀을 알아내다, 태양계 탐사선 (24) | 2011.12.18 |
태양계 행성에서 탈락한 명왕성 (26) | 2011.12.16 |
암 생각없이 보는 달력에.. 이런 스토리가 있었군요!! +_+
음..어쨌든..현재로선 2월 29일에 태어난 사람만 억울한 거겠죠..ㅡㅜ
까딱 잘못하면... 억울할 뻔 했어요 ㅡ_ㅡ++
생일이 근처이신가 봅니다. 그래서 29일 태어나신 분들은 대부분 음력으로 지내는거 같더군요.
29일이 생일인분들만 억울하군요..고대에 어찌 그리 정확하게 계산을 할 수 있었는지가 궁금하네요..
고대에는 지금보다 더욱 발전된 무언가가 있었던걸까요?
좋은정보 잘 보고 갑니다..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그레고리우스 13세 시대에 천문학이 엄청 발전하여 지금의 오차가 아주 적은 지금의 달력이 탄생하게 된거죠.
그전의 이집트력과 율리우스력은 쾌 큰 오차가 있는 달력이라 볼수 있죠.
비밀댓글입니다
무척 바쁘시군요.
환절기에 감기조심하시고,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ㅋㅋ 오랜 고대이야기인 만큼..그정도 오차는 걍 웃어줘야되는걸까요? ㅋㅋ 잼나게 보구 갑니당^^
16세기의 달력이 이천년에 하루 정도의 오차면 대단한거지요.
재미나게 읽고 갑니다.
상식하나 챙기네요.ㅋㅋ
서양달력의 탄생배경이 의외로 재미있는 부분이 많네요.
서양력의 달이름에 얽힌 얘기도 재밌더군요.
이런 부분도 있었군요..
저도사실 이번달이 28일까지인줄 알았다는..ㅠㅠ
좋은글 잘보구 갑니다~~
오늘도 화이팅하세여 ^^
4의 배수가 되는 해가 2월이 29일입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모순투성이의 서양달력에 관한 글 잘보았습니다.
애꿎은 2월이 손해보았다는 표현...ㅋㅋ
오늘도 즐거운 시간 보내세요!
맞습니다. 괜한 왕들의 욕심으로 2월만 애끛은 날벼락을 맞은 거지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
오~놀랍네요.
100년에 0.5초라는 오초가 생기다니..
멋진글 잘보고 갑니다^^
지구의 공전주기가 100년에 0.5초씩 줄어드는걸 발견한 시기가 20세기 초인데, 그전인 16세기에 만든 달력으로 이정도의 정확성을 갖는게 대단한거지요.
또 새로운정보를 얻고 갑니다.
즐거운하루되세요^^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몰랐던 사실인데 새로운 사실 얻어갑니다^^
오늘하루 마무리 잘하셔요 ㅎㅎ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달력의 탄생배경 잘 보고 갑니다. :)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이런 중요한 글을 보고 가게 되네요.
정보 감사합니다.
서양달력의 탄생배경 재미있지요.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오호, 그런 이유로...
음력이 양력보다 정확하다는 말이 갑자기 기억 나요^^
서양달력은 1년의 길이를 정확히 재는데 촛점이 맞춰졌다면, 동양달력(음력)은 계절의 변화에 초점을 맞춘 달력이라 보는게 맞겠네요.
잘 알고 갑니다.
정말...음력이 더 정확하다는 말을 하나 봅니다.
음력이 정확하다는 부분은 1년의 기점이되는 동지와 하지를 정확히 산정하여 달력을 조정하기에 정확하다고 봅니다.
유용한 정보를 알게되네요
잘보고가요 ^^
즐거운 하루 되세요^^
좋은상식 잘 배워 갑니다.
우주와 과학의 길고긴 싸움은 아직도 끝나질 않는가봅니다.
행복한 시간되세요~
늦게찾아뵈어죄송해요~
어쩌면 인간이 만든 달력은 영원히 정확할 수는 없는거 같습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4년만에 한번씩 찾아먹는 생일이 저희 집사람 생일입니다..ㅎㅎ
서양력 보다는 음력이 정확하다고 해요.. 바닷가 사람들은 거의 음력으로 이야기 하더군요..^^
아 29일에 주인공이 계셨네요. 그러면 음력으로 생일을 지내시나요.
음력은 1년의 기준(동지, 하지)에 맞춰 달력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정확하게 느껴지나 오차를 보완하기는 마찬가지입니다.
비밀댓글입니다
추천 고맙습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시저와 아우구스투스가 본인의 생일이 들어있는 달을
꽉차게 하여 기념하게 한것이 오늘날까지 왔다니 어떤의미에서
대단하네요 ㅎㅎ 달력의 비밀들을 덕분에 잘 알게되었습니다 ^^
덕분에 달력의 날수 배열에 원칙이 깨어졌지요.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달력 이름에 의미가 없다니요 -_-
9~12월이 7~10월인 이유는 예전엔 3월이 1월이었기 때문이구요.
1월의 의미는 야누스 신에서 이름이 가져 왔습니다.
2월의 뜻은 정화의 뜻인데, 원래는 12월이었죠. 따라서 한해르 마감하는 달이기 때문에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자는 뜻입니다.
3월은 마르스에서 따왔구요. 3월부터는 날씨가 따뜻해져서 전쟁을 하는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당연히 전쟁의 신 마르스에게 기원을 바라고 의미입니다.
2월이 손해를 봤던 것은 2월이 원래 12월이었기 때문에 그 전부터 오차로 인해 날짜가 모자라고 부족했던 부분은 2월에서 해결했기 때문입니다.
이름에 의미가 없다고 한게 아니라, 명명에 원칙이 없다고 했지요. 실제 달 이름에서 계절의 변화를 느낄 수 있는 달은 4,5,6월이라는 뜻입니다.
분명히 1월은 야누스의 달(재뉴어리) 의미이며, 라틴어로 새로 시작한다는 의미가 있지요.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아참 그리고 2월에 대한 의견은 님 말씀이 맞는데, 보정된 날짜가 29일로 안그래도 다른 달의 날수보다 적은데 아우구스투스때문에 8월이 31일 되어서 28일로 손해봤다는 뜻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