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가 겉으로 보이는 지금 내 모습을 결정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그런데 꼭 그렇지 않을 수 있다.
흔히들 쌍둥이를 보면 부모에게서 물려받은 유전자가 비슷할 것이다. 그런데 이들이 성장한 몇 십년 후 이들의 모습은 똑 같을지 몰라도 키, 몸무게, 질병, 습관, 기호 식품 나아가 성격 등 많은 점들이 달라진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 유전자가 같으면 성질이나 습성이 똑 같아야 하지 않을까? 답은 유전자의 종류에 있다. 바로 다인자 유전자 때문이다. 이번 글에서는 유전자가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겠다.
쥐를 통한 유전자 실험
실험실에서 만들어진 쥐는 유전적으로 공포 반응이 강한 BALB/c라는 계통의 쥐와 이와 반대로 침착한 성질을 갖고 있으며 공포 반응이 아주 약한 C57이라는 계통이다. 이 쥐들은 유전적으로 같은 성질을 갖도록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그리고 C57의 어미 쥐는 BALB/c의 어미 쥐보다 새끼 쥐에게 더 많이 털 고르기를 하며 잘 돌보는 특성이 있다.
지속적으로 털 고르기를 하며 잘 돌보는 어미 쥐가 기르면, 일반적으로 그 새끼 쥐는 성장해가면서 스트레스에 강하고 침착한 성격을 갖는다고 한다. 실험은 태어난 지 얼마 안 된 새끼 쥐를 어미 쥐에게서 떼어 놓으면서 어떻게 자라는지 관찰하였다. 특이한 점은 BALB/c의 새끼 쥐를 C57의 어미 쥐기 키우도록 하였다.
이 새끼 쥐는 유전적으로 스트레스에 민감한 BALB/c를 가지고 있지만, 스트레스에 덜 민감하고 새끼 쥐를 잘 돌보는 C57의 어미 쥐가 기른 결과, 스트레스 자극에 민감하고 공포 반응도 강한 다른 BALB/c 쥐에 비해 공포 반응이 아주 약하다는 실험 결과를 얻었다. 이 실험 결과,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에는 유전적인 차이가 있어도 키운 어미의 성격이 새끼 쥐의 성격 변화에 얼마나 큰 영향을 주는지 알 수 있다.
그러면 이 실험에서 알 수 있는 유전자의 비밀은 무엇일까? 개체의 신경질 등 성격적인 것은 유전자뿐만 아니라 환경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면 다인자 유전이란 무엇인가?
이러한 현상은 병의 발병이나 증상, 성격이나 지능 등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처럼 어떤 형질들은 태어나고 자란 환경이나 생활습관 등에 영향을 받거나 여러 유전자가 연관되어 나타날 수도 있는데, 이를 '다인자 유전'이라고 부른다. 현재 생활습관병이라 불리는 고혈압과 당뇨병 등은 다인자 유전의 형태로 나타나는 대표적인 예이다.
1. 100% 유전자의 변화로 결정되는 것 : 페닐케톤뇨증, 백피증, 낫형적혈구빈혈증(처음보는 증상이다)
2. 다인자 유전에 의한 것 : 생활습관병(고혈압, 당뇨병 등)
3. 환경 요인만으로 결정되는 것: 골다공증, 노인성 치매
2. 다인자 유전에 의한 것 : 생활습관병(고혈압, 당뇨병 등)
3. 환경 요인만으로 결정되는 것: 골다공증, 노인성 치매
위의 분류에서 보듯이 대부분의 다인자 유전병은 환경과 유전자의 결합으로 나타난다. 물론 그 비율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증세가 늦게 나타나는 것일수록 환경 요인이 크다. 아마도 흡연에 의한 각종 질병들이 이에 대한 대표적인 사례가 될 것이다.
또 한가지 재밌는 사실은 지능의 경우이다. 이는 일란성 쌍둥이와 이란성 쌍둥이를 조사한 결과인데, 유전적 영향이 약 60%, 환경이 40%라고 한다. 이제는 아이가 학교성적이 나쁠때 아빠 머리를 닮아서 그렇다느니 아니면 엄마 머리를 닮아서 그렇다라고 하면 안되겠다. 물론 유전적 영향이 없지는 않겠지만 부모의 행동과 관심이 아이를 달라지게 한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되겠다.
'Repositorium >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은 달에 인류를 보냈을까? 아폴로 달 조작의 진실은 (89) | 2012.03.26 |
---|---|
GMO, 유전자변형농산물의 안전성은? (26) | 2012.03.25 |
콩 심은데 콩 날까? 유전자의 진실은 (52) | 2012.03.19 |
지구온난화에 대한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 (38) | 2012.03.01 |
2월이 29일, 서양달력은 모순투성이다 (67) | 2012.02.28 |
세상을 바꿀 놀라운 과학기술들 (55) | 2012.02.17 |
포스팅 잘보고 간답니다
월요일 상큼한 시작하시고 홧팅입니다~ ^^
즐거운 한주 되세요^^
악..아침에 추워서 깜짝놀랬습니다.
그래도 정말 이번꽃샘추위만 지나면..
따뜻한 봄날이겠네요.
기지개 활짝 피시고 좋은날 되셔요.
낮에는 외투를 입기에는 덥더군요.
즐거운 한주 되세요^^
아이들이 자라면서 겪는 환경과 여건이 중요하군요.
알고 갑니다.^^
아이들의 정서에는 더욱 중요할거 같습니다.
자라나는 환경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잘 보고갑니다^^
오늘 하루도 행복한 하루 되세요^^
부모의 따뜻한 관심도 중요한 환경이라 생각됩니다.
즐거운 한주 보내세요^^
환경의 중요성 무시해서는 안되겠군요..
이렇게 중요하니~
항상 아이들에게 관심과 사랑을 보여주는게 가장 중요한 환경이겠지요.
잘 보구 갑니다.!
새로운 한주가 되었네요..^^
이번 한주도 알찬 한주 되시기 바랍니다..^^
행복한 한주 되세요^^
아이 키우면서 환경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잘 보고 갑니다.
즐건 날 되세요
아이들의 성격형성에 부모의 사랑은 중요한 환경요소이겠지요.
즐거운 한주 보내세요^^
잘보고 갑니다^^
월요일이네요,,
힘찬 하루 보내시고- 행복한 일들만 가득하세요^^
행복한 한주 보내세요^^
환경 정말 무시 못하죠...
저도 그 환경속에서 자라왔군요
음 그리고 보니 고민도 되는데요
언제난 부모의 관심과 사랑을 느낄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겠지요.
제 자식은 태어나면 제발 엄마를 닮아야할텐데 큰일입니다^^;; 환경은 제가 만들어줘야하는게 걱정이구요^^
두 분이 같이 만드셔야죠.
좋은 포스팅 잘 보고 갑니다.
에디슨의 위대한 명언 "99%의 노력과 1%의 영감"이 생각네요.
행복한 한 주 보내시기 바랍니다!!
유전자가 1%는 넘지만, 그 정도로 환경이 중요하다는 의미로 생각되네요.
행복한 한주 되세요^^
조물주의 오묘한 섭리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기독교에서 말하는 자유의지가 이에 해당하겠죠.
그렇게 해석할 수도 있나요.
오묘한 섭리라는 표현은 공감이 되네요.
음..여러가지 생각이 나네요.
개인적으로는 인과의 결과가 유전자로 오묘하게
전해지는거 같아요^^
환경에 의해 형성된 형질이 또 다시 유전되니 오묘하다고 생각되는군요.
비밀댓글입니다
감사합니다.
즐거운 한주 되세요^^
조금 다른 경우이긴 하지만 써프라이즈란 프로에서 특이한 유전형질 발현에 대한 이야기를 본 적이 있어요..
아마 특이한 형질의 발현도 다인자 유전의 한 예이겠지요.
부모의 행동과 관심이 아이를 달라지게 한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되겠다.
이 마지막 한 줄이 콕 하고 제 머릿속에 박히네요..
와....
아이들은 부모의 관심과 사랑으로 자라는게 맞겠네요.
흠,,이런 과학적인 글은 저한테 너무 어렵네요.ㅎ
아무튼 사진의 두 아이가 쌍둥이로 태어난것 같은데,
신기하네요.ㅎ
유전은 회색이 없다는 사례입니다.
인간,혹은 생명체를 단순히 유전자로만 설명하는건 오류이죠, 본성과 양육에 대한 논쟁이라는것도 있듯이 유전자가 전체적인 기질을 형성하고 이후의 환경이 살을 덧붙히는식,혹은 그 전체적 기질의 일부를 수정,수리하는식으로 자라나죠. 유전적 성질보다 중요한건 개인이 자라오는 환경이라고 생각합니다.
인성의 형성에 중요한 요인은 환경적 배경이라 말해도 되겠지요.
부모의 행동과 관심이 참 중요한거 같아요~
유전자의 진실 잘 보고 갑니다^^
부모의 관심과 사랑이 가장 중요한 환경이라 생각되네요.
즐거운 한주 보내세요^^
유전은 공부쪽 보다는 좀 특이한 형질이
후손에게 이어지는 것 같습니다.
머리쪽은 모계유전이라는 얘기더 하던데 신빙성이 없지요.